AUDIENT, Passion for Audio

거대 콘솔을 품은 소형 인터페이스의 반란
AUDIENT, Passion for Audio

안녕하세요. 사이먼 대표님. 구독자분들께 인사를 부탁드립니다.
여러분 반갑습니다, Audient의 대표 Simon Blackwood입니다. 저는 유니버시티 컬리지 런던에서 경제학 전공, 졸업하자마자 EMI 레이블에서 근무하였습니다. 오디오 프로덕션 업계에 몸을 담게 된 건 1985년경의 일인데 격변하는 시장의 한가운데 있었던 것은 굉장한 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어떤 일들을 해 오셨나요?
Soundcraft의 운영 이사직을 맡아 여러 산하 브랜드를 거느린 Harman International에서 매각해 갈 정도로 성장시켰습니다. Harman의 사업개발부 부사장으로 JB과 Teletronix, URE의 흑자 전환과 자동차 사업으로 진출을 도왔고, 다시 영국으로 돌아와 믹서 비즈니스 기업 Sprit을 창립하여 매출 4,500만 불을 달성, Focusrite에 매도하기도 하였죠.

Novation을 인수해 현재의 Focusrite l Novation을 만들어냈고, Turbosound의 전무 이사로 Music Tribe에 매각시키기도 했으며, 최종적으로 현재의 Audient에 몸담게 됩니다. 네, 저는 평생을 다양한 오디오 브랜드와 함께하며 성장해 왔습니다. 뛰어난 재능과 놀라운 상상력을 지닌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것은 정말 멋진 경험입니다.

코로나19를 맞이한 Audient의 상황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지난 14개월 동안 우리는 코로나19에 대해 매우 민첩하게 대응해 왔습니다. 하지만 그보다 다행인 것은 전 세계에 있는 저희 Audient의 식구들이 안전하게 지내고 있다는 것이지요. 늘어난 제품의 수요도를 통해 새로운 가족이 많아졌다는 것을 실감합니다. 지난 2020년에 판매된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양이 저희가 여태껏 시장에 내보낸 물량보다 더 많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팬데믹 상황을 창의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EVO의 진화
EVO 제품군의 콘셉트는 제품 설계에 대한 Audient의 접근 방식을 깔끔하게 요약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경쟁사보다 수치적으로 뛰어난 제품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을 고려하여 Smart Gain 콘셉트를 개발,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AI를 통해 왜곡과 게인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 좋은 사운드를 찾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 또는 4채널의 마이크 프리 솔루션과 특수 큐레이션이 된 마이크와 헤드폰 세트 등 Audient는 모든 레벨에 부합하는 전문적인 수준의 솔루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EVO 시리즈가 역대 최대 판매율인 것을 보면 고객의 니즈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있는 거 같습니다.

EXO, NCT와 함께했던 LA에 기반을 둔 음악 프로덕션 듀오 The Wildcardz - “ASP800은 현악 녹음의 수준을 완전히 새로운 영역으로 끌어올렸습니다.”
EXO, NCT와 함께했던 LA에 기반을 둔 음악 프로덕션 듀오 The Wildcardz - “ASP800은 현악 녹음의 수준을 완전히 새로운 영역으로 끌어올렸습니다.”

다른 경쟁사들과 비교했을 때 Audient의 장점과 강점은 무엇인가요?
우리는 좋은 소리를 내기 위한 핵심을 유지하면서도 저렴한 가격의 제품 생산을 구현했습니다. Solid State칩 기반의 마이크 프리와 저가 컨버터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경쟁사와는 차별화되는 부분이지요. 예산을 중요시하는 유저들이라면 ASP8024 콘솔 마이크 프리 앰프 회로를 적용한 iD 시리즈를 추천드리며, ASP expander를 통해 대형 콘솔의 사운드를 느낄 수 있습니다!

또 우리는 레코딩을 하는 데 있어 어떠한 기능들이 필요한지에 대한 이해도 높습니다. 레코딩을 하는데 의미없이 복잡한 조작 버튼보다 심플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음악이라는 마법은 정말 빠른 순간에 일어납니다. 순간의 재능, 휘발성 영감을 빠르게 포착할 수 있어야 하죠. 그러기 위해서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것 외의 다른 것들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음악이 삶이고 삶이 곧 음악인 우리에게,
한국 유저들이 보내주는 응원과 제품에 대한 믿음에 감사드립니다.

그간의 경험에 비추어 보아 한국 유저들의 성향은 어떤지 말씀해 주세요.
K-POP과 강남스타일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하자면 과거 80년대 영국 음악 시장을 성공적으로 자리 잡게 한 Stock Aitken and Water- man과 Kylie Minogue와 비슷하다고 봅니다. 우리는 제품에 대해 떠들기보다 고객의 경험을 통해 결과물이 증명되는 것을 더 좋아하는데, 그런 관점에서 한국 시장은 저희에겐 훌륭한 시험대지요. 한국 유저들은 세련됐지만 클래식함을 간직하고 있고 에너지 넘치고 재밌습니다!

 

▼ AUDINET의 더 자세한 인터뷰와 다양한 인물들의 인터뷰는 오프라인서점 및 아래 온라인 E-Book서비스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레전드매거진 7월호 vol.29
자운드몰 https://vo.la/Tj5Th
모아진 https://vo.la/kQjZK
조인스프라임 https://vo.la/LYigL
리디북스 https://vo.la/YAH38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세계적인 동영상 소프트웨어 VEGAS Pro의 MAGIX, 사운드캣 독점 계약

[ TREND&GENRE] 1990년대 한국 대중음악사 : 다양성과 글로벌화의 시대

사운드캣, 장안종합사회복지관에 음향기기 기증